p70
2) 거실에서 ②
거실의 위치가 주거 중 다른 방의 중심적 위치 라는 것이 어떤 말인가요?
p82
3. 문제에서 ②
남쪽에 현관을 배치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편이 좋다.라고 나와있는데요,
아래에 해설에서는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남측이나 중앙부분에 두는 것이 무난하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아래 해설이 잘못된 것 인가요?
p83
5. 문제에서 아래 해설 (ㅁ)
거실의 1인당 소요 바닥 면적은 최소한 4~6㎡ 정도가 적당하다.라고 나와있는데요,
p68 에서는 ① 거실: 3.3㎡/인 으로 나와있는데 어떤 것이 맞는 건가요?
p86
19. 문제에서 ②
작업대 하나의 길이는 400mm를 기준으로 하되, 작업영역 치수인 1500mm를 넘지 않도록 한다.가 틀린 설명이면 올바른 설명으로 하려면 어떻게 되나요?
p89
31. 문제에서
① 주택의 복도 폭: 1500mm
앞 설명에서 주택 폭이 보통 105~120cm (1050mm~1200mm)라고 되어있는데
문제에 나와있는 1500mm와 차이가 300mm이고
② 주택의 침실문 폭: 600mm
옆 해설에 800mm 이라고 되어있어서 이것은 600mm와 200mm 차이가 나는데
그럼 차이가 더나는 ①이 답 아닐까요?
p92
왼쪽 두번째 문제
해설에서 3중지역 배치는 대여사무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왜 부적합한지 알고 싶습니다.
p96
1) 사무실에서 ①
가- 외측에 면하는 실내(L/H): 2.0~2.4
나- 채광정 측에 면하는 실내(L/H): 1.5~2.0
저 숫자는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 것인가요?
p96
1) 사무실에서 ④
가- 1.2m module
나- 1.5m module
다- 1.8m module
저 숫자는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 것인가요?
p97
⑤ 에서
가- 동향형을 배면형이라고도 한다.라고 나와있는데요,
배면형은 등을 맞대고 근무하는 구조로
동향형이랑은 다른 개념의 구조아닌가요?
p99
③ 대수 약산식에서
2,400은 어떤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p109
20. 문제에서 ②
낮은 칸막이, 식물 등의 흡음재를 적당히 배치한다.
에서 식물도 흡음재가 될 수 있는건 가요?
p110
23. 문제에서 ②
야간금고는 가능한 한 주출입구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며 조명시설이 완비되도록 한다.
금고는 건물측벽, 뒤쪽 벽을 따라 위치하도록하며 가능한 한 한쪽 구석을 이용한다고 앞에 설명되어있는데요,
이 문제에서는 야간금고가 주출입구 근처에 위치하는것이 맞다고 나와있는데
왜 맞는건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p70
→ 거실은 가족의 단란, 휴식, 접객 등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취침 이외의 전 가족생활의 중심이 되는 다목적 기능을 가진 공간이므로 주거 중 다른 방의 중심적 위치에 둡니다.
p82
→ 현관의 위치는 주택평면의 공간구성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대지의 형태와 도로와의 관계에 의해 정해지며 정원과도 연관되는 것이 좋으며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남측이나 중앙부분에 두는 것이 무난합니다.
p83
→ 거실은 최소 3.3㎡/인, 적정 최소치는 4~6㎡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p86
→ 작업대의 작업영역은 배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p89
→ 복도폭은 보통 105~120cm으로 보며 여유있는 공간에서는 150cm로 보면 되겠습니다.
주택의 침실문 폭 800mm 정도(휠체어 출입 경우 900mm)로 600mm는 부족한 치수입니다.
p92
→ 3중지역 배치(2중 복도식, 중앙홀식)는 방사선 형태의 평면형식으로 고층 전용 사무실에 주로 사용되며, 교통시설, 위생설비는 건물 내부의 제3 또는 중심지역에 위치하며 사무실은 외벽을 따라서 배치하므로 대여사무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p96
→ L(깊이) / H(층고)
p96
→ 책상배치의 단위로 책상방향과 통로방향에 따라 모듈을 달리 적용합니다.
p97
→ 같은 개념의 배치 유형으로 교재의 그림을 참조하세요.
p99
→ 1번식은 삭제해주시고, 2번식만 참고 하세요.
p109
→ 관엽식물 등의 잎은 어느 정도의 흡음효과가 있습니다.
p110
→ 일반금고는 고객대기실과 떨어진 곳, 영업실과 가까운 곳으로 건물의 측벽, 뒤쪽 벽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며 가능한 한 한쪽 구석을 이용하지만, 야간금고(예:요즘의 ATM기)는 가능한 한 주출입구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며 조명시설이 완비되도록 하고 자동환송장치로서 안전하게 지하까지 운송되도록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