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
70 |
철골 |
구조용 비자성강 |
초고층 인텔리전트 빌딩이나 핵 융합로 등과 같이 강력한 자기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철골구조물의 강재나,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으로 사용되는 것 |
14-3 |
95 |
철골 |
무량판 |
공사기간 짧고, 기둥 주변 철근 보강, 가급적 개구부를 두지 않도록, 무량판의 슬레브 두께가 보로 거치되는 슬래브보다 두거워진다 |
14-3 |
93 |
철골 |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
넓고 강관사용, 작업용이 |
21-3 |
90 |
철골 |
철골구조 |
소형변형능력이 커서 안정성이 높다. 고층건물이나 장스팬 구조에 적당하다. 부재가 세장하므로 좌굴의 위험성이 높다. 내화력이 적어 내화피복이 필요하다 |
15-1 |
94 |
철골 |
철골구조 관련용어 |
거셋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스티프너 |
17-1 |
86 |
철골 |
판보 |
철골조의 보의 종류중 웨브에 철판을 쓰고 상하부 플랜지에 ㄱ형강을 리벳 접합한 보 |
16-3 |
93 |
조적 |
폭이 1.8m를 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윗인방을 설치해야 한다. |
|
20-3 |
91 |
조적 |
플랫슬래브 구조 |
저층건물에 적합, 바닥판의 두께가 두꺼워져 고정하충이 증가, 실내공간 이용률 높음, 층높이를 낮게할 수 있음 |
안녕하세요 제가 잘 못찾는건지 철골, 철근부분만 나오면 너무 생소합니다. 교재예 철근에 관한 내용이 요약되어있는 부분이 있나요? 굵은 글씨 용어들과 철근과 시멘트가 만났을 때 효과를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답변입니다.
철근콘크리트는 건축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부분입니다.
실내건축기사 출제기준이 개정되기 전 건축일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분야입니다만
22년부터 개정되어 출제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내용은 다음 내용에서 참고하세요.
철-철근
시멘트-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구조란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부담하도록 설계한 일체식으로 구성된 구조로써 우수한 내진구조이다.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성이 될 수 있는 원리
(1) 철근콘크리트구조 성립 이유
㉠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부담한다.
㉡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철근은 녹스는 일이 없어 내구성이 좋다. (철근은 산성, 콘크리트는 알카리성이므로)
㉢ 철근과 콘크리트의 온도에 대한 선팽창계수가 거의 유사하며 온도변화에 비슷한 거동을 보인다.
㉣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커서 잘 부착되며, 콘크리트 속에서 철근의 좌굴이 방지된다.
(2)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성질
㉠ 철근의 단면 모양과 표면 상태에 따라 부착력의 차이가 있다.
㉡ 가는 철근을 많이 넣어 표면적을 크게 하면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하는 접촉 면적이 커져서 부착력이 증대된다.
㉢ 콘크리트의 부착력은 철근의 주장(길이)에 비례한다.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