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실건기 p531 2번 (아래 질문의 답변에 대한 질문)
이*홍2024.06.02답변완료

A. 제가 질문드린 문제는 1번이 아니고 2번 문제인데 혹시 1번이라 말씀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요.. ?

 

B. 그리고 말씀주신 '생리적 긴장의 화학적 척도 중 전기적 척도'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교제에는 '생리적 긴장의 화학적 척도' 와 '생리적 긴장의 전기적 척도'이렇게 구분이 되어있는데.. 그래서 정답이  혼란스럽네요...

 제 질문의 의도는 2번문제의 정답(해당하지 않는것)은 '보기2번 뇌전도' 라고 하는데 뇌전도도 생리적 부담 척도 중 하나라 라 표기된 보기에는 정답(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는게 혹시 아닌가 하고 여쭤보는 겁니다.

실제 기출문제가 이렇게 혼란스럽게 나와서 그런가요? 아니면 책에오타가 있는 건가요? 실내건축분야 베스트 1위에 걸맞게..명쾌하고 성의있는 답변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답변남재호2024.06.05 08:41

안녕하세요. 답변입니다.

다음 내용으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 생리학적 측정법

① 정적 근력작업

에너지 대사량과 맥박수(심박수)와의 상관관계 및 시간적 경과, 근전도(EMG) 등을 측정한다.

※ 근전도(EMG ; electromyography) :

근육활동의 전위차를 기록한 것으로 심장근의 근전도를 특히 심전도(ECG ; ecectrocardiogram)라 하며, 신경활동 전위차의 기록은 ENG(ecectroneurogram)라 한다.

② 신경적 작업

매회 평균 호흡 진폭, 맥박수, 피부전기반사(GSR) 등을 측정한다.

※ 피부전기반사(GSR ; galvanic skin reflex) :

작업부하의 정신적 부담도가 피로와 함께 증대하는 수장(手掌) 내측의 전기저항의 변화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피부 전기저항 또는 정신 전류현상이라고 한다.

③ 동적 근력작업

에너지대사량, 산소소비량 및 CO2 배출량 등과 호흡량, 맥박수, 근전도 등을 측정한다.

④ 심적 작업

프릿가 값 등을 측정한다.

※ 프릿가 값 ;

정신적 부담이 대뇌 피질의 활동수준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측정한 값이다.

⑤ 작업부하, 피로 등의 측정

호흡량, 근전도, 프릿가 값 등이 많이 쓰이고 긴장감을 측정하는 데는 맥박수, GSR 등이 쓰인다.

 

뇌전도(EEG)는 생리적 상태 변동을 전류로 변환하여 측정되는 것으로 뇌파 전위도를 기록하는 전기기록도이며,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정신활동의 척도가 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