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공실무 p.201, 202
6번과 7번에서 데이터상으로는 공정표예시가 맞으나 두 조건이 바뀐것 같습니다.
6번의 경우 A의 후속작업이 C이고, B의 후속작업이 C, D일때
→ A의 후속작업이 C, D이고 B의 후속작업이 D일때
마찬가지로 7번의 경우 A의 후속작업이 C, D이고, B의 후속작업이 D일때
→ A의 후속작업이 C이고, B의 후속작업이 C, D일때
로 하여야 맞는것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시공실무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더미의 화살표 방향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시에 나온 문장보다는 data 표의 선행관계를 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시험에서도 선후관계에 대해 문장을 주어지지 않고 data 표를 주어지기 때문에 표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
주어진 data 표를 보시면 6번의 경우 D작업의 선행작업이 A, B 이므로 화살표의 방향은 A에서 D로 연결해 주시고,
7번의 경우 C작업의 선행작업이 A, B 이므로 화살표 방향은 B에서 C로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각 작업의 후속작업을 가지고 이해하시기 보다는 선행작업을 가지고 연결관계를 찾는 것이 유리한 방법입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