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입니다.
다음 내용으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 생리학적 측정법
① 정적 근력작업
에너지 대사량과 맥박수(심박수)와의 상관관계 및 시간적 경과, 근전도(EMG) 등을 측정한다.
※ 근전도(EMG ; electromyography) :
근육활동의 전위차를 기록한 것으로 심장근의 근전도를 특히 심전도(ECG ; ecectrocardiogram)라 하며, 신경활동 전위차의 기록은 ENG(ecectroneurogram)라 한다.
② 신경적 작업
매회 평균 호흡 진폭, 맥박수, 피부전기반사(GSR) 등을 측정한다.
※ 피부전기반사(GSR ; galvanic skin reflex) :
작업부하의 정신적 부담도가 피로와 함께 증대하는 수장(手掌) 내측의 전기저항의 변화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피부 전기저항 또는 정신 전류현상이라고 한다.
③ 동적 근력작업
에너지대사량, 산소소비량 및 CO2 배출량 등과 호흡량, 맥박수, 근전도 등을 측정한다.
④ 심적 작업
프릿가 값 등을 측정한다.
※ 프릿가 값 ;
정신적 부담이 대뇌 피질의 활동수준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측정한 값이다.
⑤ 작업부하, 피로 등의 측정
호흡량, 근전도, 프릿가 값 등이 많이 쓰이고 긴장감을 측정하는 데는 맥박수, GSR 등이 쓰인다.
☞ 뇌전도(EEG)는 생리적 상태 변동을 전류로 변환하여 측정되는 것으로 뇌파 전위도를 기록하는 전기기록도이며,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정신활동의 척도가 됩니다.